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망고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망고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93)
    • 회고 (9)
    • CS (13)
      • OS (2)
      • Network (8)
    • 알고리즘 (10)
      • 개념정리 (5)
      • 프로그래머스 (5)
    • 스터디 (13)
      • 면접 스터디 (2)
      • 자바스크립트딥다이브 (11)
    • WEB (37)
      • HTML&CSS (3)
      • Vue.js (12)
      • Javascript (12)
      • Nuxt.js (3)
      • React.js (7)
    • APP (2)
      • React Native (2)
    • 기타 (8)
    • 취미 (1)
  • 방명록

2023/01/09 (2)
26장 - ES6 함수의 추가 기능

함수의 구분 ES6 이전 사용 목적에 따라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 즉, ES6 이전의 모든 함수는 일반함수로서 호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할 수 있다. 즉, ES6 이전의 모든 함수는 callable 이면서 constructor다. ES6 이후 ES6에서는 함수를 사용 목적에 따라 세 가지 종류로 명확히 구분했다. ES6 함수의 구분constructorprototypesuperarguments 일반 함수 O O X O 메서드 X X O O 화살표 함수 X X X X 메서드 ES6 이전 사양에는 메서드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었다. ES6 사양에서 메서드는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된 함수만을 의미한다. ES6 사양에서 정의한 메서드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는 non-construc..

스터디/자바스크립트딥다이브 2023. 1. 9. 17:32
25장 - 클래스

클래스 vs 생성자 함수 클래스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면 에러가 발생하지만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면 일반 함수로서 호출된다. 클래스는 상속을 지원하는 extends와 super 키워드를 제공하지만 생성자 함수는 지원하지 않는다. 클래스는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하지만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생성자 함수는 함수 호이스팅이, 표현식으로 정의한 생성자 함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한다. 클래스 내의 모든 코드에는 암묵적으로 strict mode가 지정되어 실행되지만 생성자 함수는 암묵적으로 strict mode가 지정되지 않는다. 클래스의 constructor, 프로토타입 메서드, 정적 메서드는 모두 [[Enumerable]]의 값이 false다. 즉, 열거되지 않는다..

스터디/자바스크립트딥다이브 2023. 1. 9. 17:31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 github
  • ✏️ 공부 기록
TAG
  • vue3
  • http
  • react
  • props
  • 개발자
  • 항해플러스후기
  • 그림으로 이해하는 시스템 설계
  • 결제기능
  • Repository pattern
  • 레포지토리패턴
  • 알고리즘
  • 프로덕트설계
  • eventListner
  • 항해플러스프론트엔드
  • 항해솔직후기
  • Vue.js
  • 시스템설계
  • 디자인시스템
  • React18v
  • JWT토큰
  • vite
  • 이벤트리스너
  • 로그인 인증
  • 구름톤
  • 더미데이터
  • 회고
  • store.js
  • focus와blur
  • vue.js3
  • event종류
more
«   2023/01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